사업목적 | 지역의 소아진료 병·의원간 긴밀한 협력체계 강화를 통해 원활한 소아진료 지원 및 소아의료 전달체계 확립 |
---|---|
사업기간 | 2024년 8월 30일 ~ 2026년 12월 31일 (약 2년 4개월) * 시범사업 이행 약정기간은 성과보상금 지급 및 정산을 포함하여 시범사업 시작일로부터 5년 |
사업 대상 | 지역협력체계 운영 중심기관, 참여기관, 배후기관, 약국 - 중심기관 (1개소) , 참여기관(병〮의원 5개소 이상) , 배후기관(1개소 이상) , 약국(1개소 이상) |
11개 시도에서 총 20개 협력체계(기관 207개소) 선정(24. 8. 5.)
지역 | 중심기관 | 참여기관 수 | 배후기관 수 | 약국 수 |
---|---|---|---|---|
서울(2) | 성북우리아이들병원 | 6 | 6 | 1 |
의료법인 우리아이들 의료재단 우이라이들병원 | 6 | 6 | 1 | |
부산(1) | 행복한 어린이병원 | 5 | 1 | 1 |
대구(2) | 열린 아동병원 | 6 | 1 | 2 |
한영 한마음 아동병원 | 5 | 1 | 2 | |
인천(2) | 검단 조은아이 365병원 | 7 | 1 | 1 |
송도 미소 어린이병원 | 10 | 1 | 1 | |
광주(1) | 광주 센트럴병원 | 5 | 1 | 1 |
대전(2) | 대전 코젤병원 | 5 | 1 | 1 |
봉키병원 | 6 | 1 | 1 |
지역 | 중심기관 | 참여기관 수 | 배후기관 수 | 약국 수 |
---|---|---|---|---|
경기(6) | 김포 아이제일병원 | 8 | 2 | 1 |
베스트 아이들병원 | 5 | 1 | 1 | |
브이아이씨 365병원 | 5 | 1 | 2 | |
서울 어린이병원 | 12 | 1 | 4 | |
의료법인 양진의료재단 성세아이들병원 | 5 | 1 | 2 | |
튼튼 어린이병원 | 7 | 1 | 2 | |
충북(1) | 아이웰 어린이병원 | 8 | 1 | 2 |
충남(1) | 두정이진병원 | 6 | 1 | 2 |
전북(1) | 전주 다솔아동병원 | 7 | 1 | 1 |
경남(1) | 거제 아동병원 | 7 | 1 | 2 |
대전시에서는 대전코젤병원, 봉키병원이 선정되었습니다.
소아청소년과 등 참여기관 병·의원 – 협력체계 중심기관 – 상급종합병원·종합병원 등 배후기관
입원 등 필요 소아 의뢰(직통연락망 활용)
입원 수락 및 아동 진료(진료정보교류사업, 건강정보고속도로 활용)
회송
환자의 성장 발달 추적 및 진료 연속성 확보를 위해 정보 공유 플랫폼을 활용하며, 진료정보공유 플랫폼은 진료정보교류시스템 활용을 권장합니다.
지역협력체계 안에서 야간휴일 등 365일 소아진료 제공을 위해 협력 계획 수립하며, 정규 시간 외 진료(야간,휴일 등) 일정 등을 지역 주민에게 안내하여
활성화를 유도합니다. 지방자치단체와 협력을 통해 필요한 행정적 지원 및 홍보를 하고 있습니다.
급성기∙중등증 입∙원집중관찰, 정규시간 외 진료 및 협력체계 관리, 소아정맥채혈 전문서비스 등 제공
(병·의원) 소아청소년 건강관리·예방 및 소아 일차진료, 환자평가를 통한 진료연계 결정, 정규시간 외 진료(야간·휴일등) 실시 (약국) 참여 병·의원과 연계를 통한 소아 약 조제
지역 진료협력체계 당 약 2 억 원 지원 (사전 70% 지급, 사후 30% 평가결과에 따라 차등 지급)